Financial Solutio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Financial Solution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 일
    • 투자
    • Work
    • Excel
    • 책

검색 레이어

Financial Solution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30대 영끌이 부부 22년 하반기 가계재무 리뷰

    2023.01.12 by Financial Solution

  • [중요 필독] 2023년 비상장법인 중점 점검분야

    2023.01.12 by Financial Solution

  • [중요 필독] 2022년 감리지적사례

    2023.01.12 by Financial Solution

  • IFRS15 - 1년 이내에 완료되는 용역을 기간에 걸쳐 수익인식 해도 되나요?

    2022.09.28 by Financial Solution

  • 퇴직위로금 회계처리: 퇴직위로금과 해고급여는 다르다

    2022.09.28 by Financial Solution

  • IFRS15에서 바뀐 "수익인식" 개념

    2022.09.28 by Financial Solution

  • 매출 vs. 잡이익 구분

    2022.09.28 by Financial Solution

  • 자본vs.부채 논란의 중심: 회제이-00094 (리픽싱조건의 자본/부채 분류)

    2022.09.28 by Financial Solution

30대 영끌이 부부 22년 하반기 가계재무 리뷰

2019 2020 2021 2022 상반기 2022 하반기 (+) 근로소득 168,060,000 209,725,000 123,002,990 68,841,000 (+) 기타소득(부업 등) 0 12,010,000 9,040,000 4,440,000 (-) 소비 -79,774,761 -52,662,858 -20,938,444 -72,018,891 소비/근로소득% 47% 24% 16% 98% (-) 이자비용 -7,322,486 -12,204,143 -4,532,912 -11,791,539 (+) 주식투자 소득 26,250,247 23,352,679 -14,700,000 2,750,000 (+) 아파트 평가손익 0 269,835,504 11,724,005 -131,559,509 총손익 107,213,000 450..

투자 2023. 1. 12. 15:55

[중요 필독] 2023년 비상장법인 중점 점검분야

1. 대형비상장에서 비외감 종속기업은 연결범위에 포함하지 않거나 중소기업특례로 지분법 적용 안 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종속회사 전부에 대해 연결재무제표 작성해야 함 -> 이게 가능하려면 연결회계 시스템 구축을 올해 말이 아니라 지금 바로 시작해야 함 2. 장기공사계약(수주산업) 수익인식 적정성 -> 이건 꾸준한 것이니 말할 필요 없고 3. 금융자산 대손충당금 회계처리 적정성. 매출채권, 미수금 등에서 거래처의 재무적 상황을 고려해서 회수가능성 반드시 검토해야 함. 1% 비율로 그냥 때리면 안 됨 4. 현금 실재성 (횡령 사고 관련) 및 영업/투자/재무CF 잘못 분류되는 경우 -> 유형자산 취득/처분 관련 비현금거래 반드시 확인해야 하고, 미지급금 등 계정 통째로 영업CF로 분류하면 안됨.

일 2023. 1. 12. 15:39

[중요 필독] 2022년 감리지적사례

2022 감리지적사례입니다. 회계팀이나 감사인이라면 반드시 확인하여 당국에 불려가는 일이 없도록 합시다 - 진행률과 관련해, 추정이 크게 바뀌었다면 전기 금액도 변경해야 함 20년 초 최종 도급액 정산이 이루어졌고, 이 때 실제발생원가와 예정원가와의 차이가 크게 발생한 바 기존 도급액과 공사예정원가를 수정하여 2019년에 반영하였어야 함. - 매출 기간귀속. 세금계산서 기준은 안 됩니다 풍력발전에서 전력매출 및 REC매출을 계측 시점이 아닌 세금계산서 발행시점으로 잘못 인식함 용역을 제공한 시점이 아닌 위탁수수료 정산서를 수령한 시점으로 인식 과거 외감전 회계기간의 계약들은 세금계산서 발행기준으로 수익을 인식함. 과거 계약에 대해 계속 그렇게 회계인식하다 걸림 - 대손충당금: 특히 거래처에 중대한 신용위..

일 2023. 1. 12. 14:59

IFRS15 - 1년 이내에 완료되는 용역을 기간에 걸쳐 수익인식 해도 되나요?

case) 회사는 ERP 설치를 전문으로 하는 SI 사업을 하고 있음. 용역 수행기간은 1년을 넘을 때도 있고 넘지 않을 때도 있음. 이 경우, 1년을 넘지 않는 용역의 수익인식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기간에 걸쳐 vs. 일시에) ​ answer) 기간에 걸쳐 수익 인식 해야 함. 해도 됨이 아님! ​ 기준서를 다시 보면 문단 35 다음 기준 중 어느 하나를 충족하면, 기업은 재화나 용역에 대한 통제를 기간에 걸쳐 이전하므로, 기간에 걸쳐 수행의무를 이행하는 것이고 기간에 걸쳐 수익을 인식한다. SI업무는 해당 문단 아래 조건을 만족하기 떄문에 기간에 걸쳐 수익을 인식해야 합니다. ​ 일반기업회계기준에서 공사계약은 진행기준이나, 1년 미만 공사에는 예외적으로 일시에 매출을 인식할 수 있습니다. 이게 흘러..

일 2022. 9. 28. 11:36

퇴직위로금 회계처리: 퇴직위로금과 해고급여는 다르다

희망퇴직자에게 퇴직위로금을 지급하는 경우의 회계처리를 퇴직급여 xx l 미지급금 xx, 이렇게 일시 비용으로 처리하면 원칙적으로 틀린 회계처리입니다! ​ 좀 더 정확하게 설명하면 "희망퇴직이 제도화되어 운영하는 경우"는 퇴직위로금을 해고에 따른 일시 급여가 아닌 매해 충당금에 반영해야 합니다. 제도화라는 건 공식적인 사규에도 있을 수 있지만 '의제의무'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경우(즉 희망퇴직이 꾸준히 있어 왔고, 종업원이 얼마쯤 받겠다 하는 기대를 가질 수 있는 경우)에도 적용되기 때문에, 희망퇴직을 한 적이 있는 회사라면 모두 해당될 것입니다. ​ 해당 기준서에 명확하게 나와 있습니다. ​ IFRS 1019호 종업원급여 93 ⑴ 기여금액이 근무연수에 따라 결정된다면, 기업은 총 급여에 대해 문단 70에서..

일 2022. 9. 28. 11:35

IFRS15에서 바뀐 "수익인식" 개념

요약: 총액순액 판단할 때, 재고자산 위험은 옛날 개념이니까 깔끔하게 잊자 과거 IFRS15 개정전에 회계를 공부했던 분들이 생각하는 "수익인식"과 현행 IFRS15의 기본적인 개념, 철학은 매우 큰 차이가 있습니다. ​ 간단하게 요약하면, 본인대리인 문제를 판단할 때 과거에 가장 중점적으로 봤던 건 "재고자산 위험"이었습니다. 재고자산의 보유 위험이 가장 대표적인 "위험과 보상"의 이전을 판단할 수 있는 명확한 기준이었으니까요. ​ 그러나 새로운 기준서를 봅시다. (16년 11월 개정내용) (본인 대 대리인) 기업이 수익창출 거래에서 본인(재화나 용역의 공급자) 역할을 하는지, 대리인(재화나 용역을 공급하는 업무를 주선하는 책임) 역할을 하는지를 판단할 때 특정 재화나 용역이 고객에게 이전되기 전에 기..

일 2022. 9. 28. 11:34

매출 vs. 잡이익 구분

case) 제조업을 운영하는 법인이, 회사 소유 골프장 주변 부지를 개발해 콘도를 신규 분양하려고 하고 있음. 이 분양사업은 매출인지? 잡이익인지? ​ answer) 그 사업이 "통상적인" 활동인지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실무적으로, 정관상 사업목적에 있으면 매출이고 없으면 잡이익으로 본다. 문단 6 이 기준서는 계약 상대방이 고객인 경우에만 그 계약(문단 5에서 열거한 계약은 제외)에 적용한다. 고객이란 기업의 통상적인 활동의 산출물인 재화나 용역을 대가와 교환하여 획득하기로 그 기업과 계약한 당사자를 말한다. 예를 들면 계약상대방이 기업의 통상적인 활동의 산출물을 취득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어떤 활동이나 과정(예: 협업약정에 따른 자산 개발)에 참여하기 위해 기업과 계약하였고, 그 계약 당사자들이 그 ..

일 2022. 9. 28. 11:32

자본vs.부채 논란의 중심: 회제이-00094 (리픽싱조건의 자본/부채 분류)

전환사채 같은 복합금융상품을 자본으로 분류하느냐, 부채로 분류하느냐는 매우 중요하면서도 해묵은 회계 이슈입니다. 사실 기준서에서는 자본의 정의(=금융부채가 아닌 정의)를 꽤나 명확하게 제시하고 있습니다. 2. 부채와 자본의 분류 ㈏ 자기지분상품으로 결제되거나 결제될 수 있는 계약으로서,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한다. ① 변동가능한 수량의 자기지분상품을 인도할 계약상 의무가 없는 비파생상품 ② 확정 수량의 자기지분상품에 대하여 확정 금액의 현금 등 금융자산의 교환을 통해서만 결제될 파생상품. 금융부채는 다음의 부채를 말한다. ⑵ 자기지분상품으로 결제하거나 결제할 수 있는 다음 중 하나의 계약 ㈎ 인도할 자기지분상품의 수량이 변동 가능한 비파생상품 ㈏ 확정 수량의 자기지분상품을 확정 금액의 현금 등 금융자산과 ..

일 2022. 9. 28. 11:31

추가 정보

반응형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다음
TISTORY
Financial Solution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