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nancial Solutio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Financial Solution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 일
    • 투자
    • Work
    • Excel
    • 책

검색 레이어

Financial Solution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세계 주식시장 데이터 크롤링하기 (3) - 파이썬 beautifulsoup

    2022.01.31 by Financial Solution

  • [책] 대치동

    2022.01.30 by Financial Solution

  • [책] 가난한 사람이 더 합리적이다

    2021.02.27 by Financial Solution

  • 그저 역대급인 2.4 부동산대책 보도자료

    2021.02.05 by Financial Solution

  • 현대카드는 특별하지만, 특별하지 않은 이유

    2021.01.07 by Financial Solution

  • 선형적 사고와 비선형적 세계

    2020.09.26 by Financial Solution

  • 세계 주식시장 데이터 크롤링하기 (2)

    2020.02.05 by Financial Solution

  • [M&A 용어] 프로그레시브 딜

    2020.02.05 by Financial Solution

세계 주식시장 데이터 크롤링하기 (3) - 파이썬 beautifulsoup

https://financialsolution.tistory.com/86 세계 주식시장 데이터 크롤링하기 (2) https://financialsolution.tistory.com/75 세계 주식시장 데이터 크롤링하기 (1) 단순히 세계 주식시장의 현재 지수만 아는 건 쉽습니다. Investing.com이나, 아니면 단순히 네이버증권에서도 주요 주식시장 지 financialsolution.tistory.com 앞에서 HTML 구조를 분석했다면, 이 HTML 언어를 우리가 원하는 데이터 셋 = 엑셀 으로 만드는 작업을 파이썬으로 하는 과정입니다. 여기서 파이썬에서 필요한 모듈은 Beautifulsoup (HTML에서 우리가 원하는 것을 뽑아낼 수 있게 해 주는) 그리고 엑셀로 저장하기 전 Table 으로 ..

카테고리 없음 2022. 1. 31. 09:37

[책] 대치동

대치동 논술 학원에서 20년간 일한 저자의, 철저한 필드웍에 따른 인류학 책 정권에 따라, 정권 아래에서도 계속 대입 제도는 바뀌어 왔다. 대입 제도를 바꾼 대부분의 이유는 대단한 철학과 입시제도에 대한 이해가 있어서가 아니라, 학부모들의 비난이 빗발치면 바꾸고, 새로 바뀐 제도는 또 3년 후면 부작용이 눈에 보이니 비난의 대상이 되니까 또 좋은 미사여구를 붙여가며 또 제도를 바꾼다. 욕망은 당연한 거고, 욕망을 인정해야 한다. 그런데 모두가 획일적인 욕망을 가진 사회는 불행해진다. 대입 제도를 본고사를 하든, 학종을 하든, 논술을 보든, 누군가는 불행해 진다. 왜냐면 제도에 따라서 누군가는 유리하고 누군가는 불리할 수밖에 없는 제로섬 게임이기 때문이다. 대치동의 명성은 화려한 대형 학원이 아니라, 낡고..

책 2022. 1. 30. 11:56

[책] 가난한 사람이 더 합리적이다

제목 번역이 왜 저렇게 되어 있는지 모르겠는데 원제는 Poor Economics 이다. [가난의 경제학: 빈곤에 대처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고민하다] 가 맞는 제목이고, 책 내용상으로도 가난한 사람이 "더" 합리적이라는 내용은 없다. 가난한 사람이 받은 보조금이나 현물을 사용할 때, 그들이 처한 상황에서는 합리적인 방식이 정책 입안자가 생각하는 합리적인 사용 방식과 다르기도 하다 - 뭐 이런 내용은 있어도. 책의 주된 내용은 글로벌 빈곤에 맞서 싸우기 위해서 어떤 방법이 실제로 효과적일까? 를 연구한 내용인데, 내가 UN에서 일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보다는 저자가 관찰한 가난한 사람들의 행동 패턴을 집중해서 읽었다. Key takeaways) 가난한 사람들은 건강식에 돈을 쓰지 않는다. 식비가 추가..

책 2021. 2. 27. 18:24

그저 역대급인 2.4 부동산대책 보도자료

국토부장관 교체 이후 첫 부동산대책입니다. 무려 25페이지에 달하는 보도자료에서, 저는 부동산을 잘 모르지만 부동산에 잔뼈가 굵은 사람들의 평가는 "결론적으로 아무것도 바뀌는 게 없지 않나..?" 입니다. 결국 아무일도 벌어지지 않는 대책이라면 이전의 대책보다는 낫지 않을까 싶습니다. 부동산이 어떻게 될지는 모르겠고, 효과가 없을 수도 있을 수도 있고, 대신 이번 보도자료가 역대급인 건 확실합니다. 1) 발표 전날에 전문이 유출됨 일부 내용이 루머로 떠돈 게 아니라, 전문이 유출되었다고 합니다. 2) 가슴이 웅장해지는 표현 처음부터 이목을 끄는 "3다" 문맥상 많다는 의미가 아닌 것 같은데.. 많을 다 말고 다른 뜻도 있겠죠 부읽남은 이 문단을 보고 가슴이 웅장해진다고 표현했습니다. 지금까지 아파트가 어..

투자 2021. 2. 5. 13:29

현대카드는 특별하지만, 특별하지 않은 이유

1. 모두가 아는, 현대카드의 특별함 현대카드는 소비자들의 인식에서 카드업계의 One and Only 입니다. 카드사 중 거의 유일하게 브랜드 가치가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 같습니다. 디자인과 홍보, 이걸 모두 아우르는 브랜드 빌딩 능력이 경쟁사와는 비교도 되지 않죠. 현대카드가 디자인 혁신으로 업계를 뒤흔든 게 십수 년이 지났는데, 경쟁사는 이런 옥색에 궁서체 디자인을 내 놓고 있습니다. 정말 이래도 될까 싶은데, 그래도 됩니다. 왜냐면 현대카드는 몇년간 매출이나 영업이익 면에서 거의 성장을 보이지 못했던 반면, 우리카드는 레드오션 시장에서 연간 10% 수준의 빠른 성장을 보여줬죠. 어떻게 이럴 수 있을까요? 현대카드는 디자인만 특별하지 않습니다. 고객경험을 엄청나게 중시하는 회사니까요. 리뉴얼된..

투자 2021. 1. 7. 12:35

선형적 사고와 비선형적 세계

hbr.org/2017/05/linear-thinking-in-a-nonlinear-world Linear Thinking in a Nonlinear World The obvious choice is often wrong. hbr.org 세상에서 벌어지는 일들의 대다수는 비선형적입니다. 반면 우리의 사고는 매우 선형적입니다. 1의 input을 넣으면 1에 비례하는 output이 나오고, 그 두배의 input을 넣으면 2에 비례하는 output이 나온다고 믿으나, 이는 현실과 매우 다릅니다. 위 아티클은 마케터 입장에서 구체적인 예를 들어 주고 있습니다. 나심 탈레브가 주구장창 이야기하는 헛똑똑이들에 대한 비판을 좀더 세련되게, 그래서 일하는 사람들이 어떤 함정에 빠지지 말고 어디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지..

Work 2020. 9. 26. 18:03

세계 주식시장 데이터 크롤링하기 (2)

https://financialsolution.tistory.com/75 세계 주식시장 데이터 크롤링하기 (1) 단순히 세계 주식시장의 현재 지수만 아는 건 쉽습니다. Investing.com이나, 아니면 단순히 네이버증권에서도 주요 주식시장 지수는 다 알려줍니다. 하지만 우리가 원하는 데이터는 그것보다는 더 복잡합니다. 최.. financialsolution.tistory.com 어느 사이트에서 데이터를 가져와야 하는 지 알았으니, 이제 사이트 구조를 분석해서 기계에게 명령을 내려 봅시다. 구글 크롬에서 F12키를 누르면 오른쪽에 HTML을 분석할 수 있는 창이 나옵니다. HTML이란, 웹사이트를 구성하는 코드이며 우리의 브라우저(크롬, 익스플로러, 사파리 등)가 이 코드를 읽어서 화면에 뿌려주는 겁니..

Work 2020. 2. 5. 18:45

[M&A 용어] 프로그레시브 딜

프로그레시브 딜이란 인수 후보끼리 가격 경쟁을 붙여 호가가 오를 때마다 다른 인수후보에게 더 높은 가격으로 인수할 것인지를 제안하는 방식입니다. 즉 경매입찰과 동일한 방식입니다. 프로그레시브 딜 방식을 사용하면 매도자는 가능한 최고 가격에 매도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프로그레시브 딜은 매수하는 입장에서는 비싸게 살, 즉 승자의 저주에 걸릴 가능성이 무엇보다도 높은 방식입니다. 따라서 어지간히 매력적인, 최소한 둘 이상의 경쟁자가 사운을 걸고 달려드는 상황이 아니면 사용할 수 없는 방식이기도 합니다. 또한 매도인과 매수인 간의 관계가 우호적이기는 힘든 거래 방식인 만큼(쥐어짜낼 수 있을 만큼 쥐어짜겠다는 의도니까요) 앞으로 자본시장에서 서로 마주칠 일이 많을 경우에도 그렇게 선호되지는 않는 방식입니다. 프..

Work 2020. 2. 5. 13:46

추가 정보

반응형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다음
TISTORY
Financial Solution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